케어닥 조직문화 
케어닥의 모든 소통과 의사결정은 자율과 책임을 바탕으로 이루어집니다
자율적으로 행동하되, 스스로 책임지는 문화
•
보고 및 제한이 없이 오전 7시~11시 자유로운 출근 시간
•
승인이 필요 없는 자유로운 휴가
•
주 2회 재택 근무 제도 실시
•
과업과 결과에 끝까지 책임지는 오너십
수직적인 책임 구조에 수평적인 커뮤니케이션
•
더 많은 권한에 더 많은 책임이 따르는 수직적인 책임의 구조 (C레벨-BO-팀리더-매니저)
•
직급에 관계없이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는 수평적인 피드백 문화 (영어 닉네임 사용)
•
돌려 말하기 보단 사실을 말하고, 정보를 공유하며 납득하는데 익숙한 솔직한 커뮤니케이션
•
감정과 관례, 관계가 아닌 논리적인 준거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회사와 구성원이 함께 성장하는 문화
•
“하자, 할 수 있다”를 조직에 전파하는 긍정적 실행의 문화
•
업무 몰입과 성장을 위해서라면 아낌없이 지원하는 문화
•
구성원의 피드백을 기반으로 개선하고 변화하는 상생의 문화
•
회사의 성장이 구성원에게도 실질적으로 이어지는 보상의 문화
케어닥 인재상 
케어닥 팀은 이런 분들과 함께 일하고 싶습니다
Problem solver
상황만 탓하기보다, 문제해결과 개선에 집중하는 사람
일을 하다보면, 우리는 항상 이슈에 직면합니다. 그때 상황 자체나, 문제를 발견한 사람, 문제를 만든 사람을 탓하기 보다,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은 해결책이 무엇인지 고민하여, 어떻게 개선하고 예방할지 고민합니다.
Team worker
슈퍼스타 보다, 팀 전체의 목표와 시너지를 고민하는 사람
케어닥은 슈퍼스타도, 인플루언서도 모두 좋습니다. 다만, Stand alone 하는 사람은 선호하지 않습니다. 어떻게 주변동료와 더 일을 잘하고, 더 잘 공유하고, 배움을 같이하는지 고민합니다.
Steady learner
일상에 안주하기 보다, 나와 팀을 위해 지속 성장하는 사람
케어닥은 성장에 안주하거나, 무임승차자(Free rider)와는 함께하지 않습니다. "누구나 끊임없이 성장할 수 있어, 배움에는 끊이 없어" 하는 생각을 가진 사람을 선호합니다.
Honest communicator
문제해결을 위해, 진심어린 대화와 피드백하는 사람
불편하다고 넘기거나, 삼키는 것이 아니라, 상대와 나, 조직을 위해서 마음을 담은 현명한 쓴소리도 하는 사람을 선호합니다. 또한, 현명한 쓴소리를 나와 조직의 성장을 위한 조언이라 생각하는 투명한 소통을 지향합니다.
Customer Oriented
현장에서 고객과 마주하며, 알아갈 수 있는 사람
보호자, 노인, 케어코디(간병인, 요양보호사) 및 이해관계자를 상상하기보자 현장에서 직접 만나 응대하고 지원하는 사람이 고객 만족이 높은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습니다. 케어크루는 부서에 관계없이 고객을 향하는 자세를 가지기 위해 노력합니다.
케어닥 복지
구성원의 성장과 몰입을 위한 근무환경과 복지를 지속적으로 고민하며 함께 만들어갑니다
업무 몰입과 성장을 위한 지원
•
7시~ 11시 사이 유연시차출근 제도 실시
•
자율 휴가제도 및 주 2회 재택근무 실시
•
성장을 위한 강의 및 세션 참가비 지원
•
케어닥 도서관 운영 - 도서 구매 지원
•
야근시 식대 및 택시비 지원
케어닥 소통을 위한 지원
•
둘째, 넷째 주 금요일 리프레시 점심 2시간
•
팀 회식비 지원
개개인을 위한 지원
•
케어닥 임직원 간병 크레딧 연간 100만 원 지원
•
생일자 조기 퇴근권 제공
•
명절 선물 지급
•
경조 휴가 및 경조비 지원
방문요양 및 공단의 법령을 준수해야 하는 사업체 및 직무의 경우 법령 규정에 따라 근무 및 복지 제도가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